본문 바로가기

cs,코딩,알고리즘/데보션 영 1기(2022)

[SKT DEVOCEAN] MINI MEET-UP 후기

728x90

 

SKT에서 데보션 영들을 위해 미니밋업을 준비하셨다고!!

개발자를 꿈꾸는 학생들의 고민을 반영한 밋업을 준비하셨다고 한다.

1. 스타트업에서 대기업으로-김한성 마스터님

skt에서 Cloud Data Solution팀으로 활동하시고,

Meta Data Discovery Tool을 개발하시는 업무를 하신다고 하셨다.(거기에 기타 잡무,,까지 하신다공,,크크) 

 

🔆학교생활

기깔난 프로젝트와 동아리들로 학교생활을 채우셨다.

본인의 인상깊었던 경험은 평상시에 임베디드에 관심이 많았어서 2013년 동아리 회장때 슬랙에 문을 열어달라고 입력하면 문이 열리는(라즈베리파이) 프로젝트를 진행하신 것이었다고!

(예전에는 연계전공하는 사람들은 인프라가 없다고 투덜대기만 했었지만, 이제는 찾아가는 거도 내가 당연 감당하고 해야할 일이라는 생각이 들면서 부럽고 대단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나도 다음엔 우리학교 융소 FARM프로젝트 해야지)

 

🔆스타트업

1번째 스타트업-Brilliant & company

스타트업의 장단점

-휴학하고 다녔던 스타트업

-스타트업을 경험해보니 (실무 1년) 내가 무엇을 좋아하고 잘하는지를 알게 되었다고 하신다.(파이썬과 백앤드&클라우드)

사수없이 컸기에, 그리고 중요한건 it회사가 아니어서 개발 친화적인 환경이아니었다고 하셨다.

개발친화적지 않은 스타트업은 정말정말 피하라고!!!! 하셨다

그도 그럴게, 배울 수 있는 환경은 당연히 없고, 무엇보다 가능한 기술인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해결해달라고 쫄레쫄레 오지만, 회사에 제대로 정해진 tool도 없으니 정말 무에서 100프로의 유를 창조해야할 거 같긴 하다.

 

2번째 회사-vinu labs

-우리학교 ipp같은 전형으로 간 회사

-10년간의 일을 했다는거는 10년간 코드가 묵혀있다는 것(regacy code)

-b2c이긴 하지만 광고가 주된 수익이다보니 광고서버가너무 중요햇기에, 밤을 무조건 새셨다고 한다..

=>이것의 고통은 서버개발자가 A-Z다 하는 것,,(이전 회사와 같은 루트,,,)

=>개발자를 위한 회사를 찾게 된다고 한다.

 

 

skt합격하기 전까지 마스터님이 노력하셨던 것은 회사를 다니면서 계속해서 다른 회사 지원하셨다는 것.

\

🔆skt data engineer 의 업무와 현실

데이터 엔지니어의 주요 업무

-메타데이터를 다루고 있고, 배치시스템을 설계하는데 일하고 있음

-테라바이트x 페타바이트 수준의 양을 다룸.

-이때 사용하는 데이터 베이스는 hadoop을 사용하셨다고 한다.(aws는 비싸니까)

 

데이터 엔지니어의 현실

-매일 데이터 수집과 정제를 반복적으로 수행

-데이터가 너무너무 많아서 데이터 관리를 위한 서비스가 존재해야한다.(없으니,,,,, 힘들다고 업계에서 많이 말하는거고)

-결국 데이터는 보안보안보안보안보안

-하지만 일이 많기에,, 이직의 기회가 많다. 능력만 있으면 먹고살 걱정은 필요없다고 하신다.(암 아무래도 전문직인데!..)

 

결국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개발과 배움이 취미이신분

=>학점보다는 프로젝트 위주로 준비할 것.

=>이론과 실무는 너무 다르다. 외부활동/석박을 무조건 해야한다.

 

2. 개발자의 취업준비과정_심재훈

🔆 대학원생준비

좌절-> 학점 3.0, 랩실 인턴x. 대학원생이 되려면 교수님 컨택 일찍하고 인턴하기.(사전접촉이 중요)

인턴 안해도 대학원 안가도 먹고살 길 있으니까 다시 마음잡고 준비하셨다고 한다.

(원래부터 알고있었지만, 재훈님 엠비티아이 F이신데, 학업이나 업무관련해서는 찐 T이신 것 같다. 나도 그렇게 마음 먹고 살아야지)

 

🔆 취업준비, 카x오 추천시스템팀 지원

Binary tree는 어떻게 동작하냐는 질문에 당황ㅎㅎ 탈락

큰 기대 없이 지원한거였지만 준비 좀 하면 원하는 커리어 시작 가능할거라 생각

안된다고 좌절하는게 아니라, 바로바로 다른 방법 찾아보기

무모하지만 무조건 도전해보기

 

🔆 SAFFY 1기

혼자하면 방황할 수 있는것, 같은 목표를 가진 사람들끼리 있다보면 각성이 된다

n수생이 많아서 여러가지 꿀팁 알 수 있었음

 

 

링크드인!! 친구추가하자!!

 

3. 개발 Level-up , 어떻게 해야하지?-안승규 마스터님

skt에서 명성이 자자하신 안승규 마스터님

데보션영 발대식에서도 인자하신 인상으로 부드럽게 환영해주셨던 모습으로 기억한다.

개발자로 시작하여 이제는 총괄을 담당하시니까 크게 어떻게 성장해야하는지를 위주로 말씀해주셨다.

(앞의 마스터님들은 나무를 보고 세세한 경험담을 들려주셨다면, 안승규 마스터님은 숲을 보며 큰 틀을 어떻게 잡아야 할 지의 로드맵을 알려주신 느낌)

 

🔆제일 잘하는 기술이 하나 있어야 하고, 이후 폭넓게 공부한다

내가 잘하는 기술이 있어야 한다. 나 혼자 잘한다고 생각하는게 아니라 남이 생각하기에!! 그게 언어든, 엔지니어링이든!!

 

🔆커뮤니티로부터 배운다

내가 잘 배우고 있는지, 잘 작동시키고 있는지, 그

 

 

안승규님이 우리에게 하고싶으신 말로 마무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