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터버블 (2) 썸네일형 리스트형 학술제_초연결 사회로의 새로운 변화 MZ세대 관련 초개인화에 대한 경영전략_자료조사(2/2) mz세대의 초개인화로 필터버블이 생겨난 상황->그로 인한 문제들(원인과 결과)를 해결하여 경영전략을 세우자2-초개인화와 필터버블(연결점) 1. 초개인화는 무엇을 의미하며, 초개인화는 기존 개인화와 어떤 차이를 가지는 것일까? -먼저 개인화란,사람의 나이나 성별, 직업 등 사용자가 직접 제공하는 데이터와 어떤 소셜 미디어를 주로 이용하고 얼마나 웹사이트에 머무는지 등 온라인 행동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우선 이해하고, 이러한 사용자 개개인에게 수용력이 높은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까지를 말한다. -초개인화는 여기서 한 발자국 더 나아간다. 개인화 단계에서 파악할 수 없었던 스크린 밖 행동까지 아울러 사용자를 더욱 세밀하게 그려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토대로 메시지를 전달할 때 맞춤형 콘텐.. 학술제_초연결 사회로의 새로운 변화 MZ세대 관련 초개인화에 대한 경영전략_자료조사(1/2) mz세대의 초개인화로 필터버블이 생겨난 상황->그로 인한 문제들(원인과 결과)를 해결하여 경영전략을 세우자1.필터버블에 관한 이해 0. 개인화 알고리즘 -구글 같은 검색엔진,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같은 SNS, 아마존 알리바바 같은 쇼핑몰은 이용자의 정보 탐색, 콘텐츠 소비, 인맥 관리, 전자상거래를 위한 모든 활동 유형을 수집한다. 이를 인공지능으로 분석해 맞춤형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유튜브에서 강아지 영상을 자주 시청한 이용자를 애견인으로 판단하고 다음 방문에서 애견용품 쇼핑몰로 유도하는 식이다. 말 그대로 ‘취향 저격’ 서비스다. -사용자는 사용자가 지각하고 있는 것과는 무관하게 수많은 개인화 알고리즘에 둘러싸여 있고, 이들은 현실 세계와도 밀접하게 자리 잡아 사용자에게 직/ 간접적으로..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