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금융의 의미
① (횡단적)자금의 융통(막힘없이 통용하는 것)- 자금의 수요자와 공급자/ Finance(목적을 이루다 결말을 짓다)-> leverage(지렛대 효과)
② (종단적)희소한 재무적 자원(개인이 일생동안 갖게되는 재무적 자원은 희소하니까)을 시간에 걸쳐 배분(allocation over time)
cf-레버리지(지렛대) 효과
지렛대를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도 큰 물체를 들어올릴 수 있는 것처럼 외부에서 빌린 자금이나 특별한 거래구조를 가진 계약(예: 선물이나 옵션과 같은 파생상품)을 이용하여 거둘 수 있는 투자 효과
ex- 어떤 자산이 현재 1억 원인데 1년 후 50%의 가치 상승이 예상된다면 5천만 원밖에 보유 자금이 없더라도 5천만 원(지렛대)을 빌려 투자할 수 있고 그 결과 1년 후 자산 가치 1억 5천만 원에서 빚을 갚고도 1억원을 회수하여 보유 자금(자기 자본)을 기준으로 무려 100%의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ek
https://news.joins.com/article/print/2696481
2. 금융시장과 금융 시스템
①금융시장
[공급자(흑자주체)->수요자(적자주체]&상품
->자금의 공급자는 자금을 빌려줌으로써 자신의 자금을 비래로 배분+ 이자라는 수익
->주된 자금수요자는 기업( 정부도 조세수입보다 지출이 많으면 자금 수요자가 된다)
종류(3)
만기 기간에 따라 단기금융시장 vs 장기 금융시장
기간 1년에 따라 여러 단기와 장기로 나눈다
금융 방식에 따라 직접금융시장(기업의 자금조달) vs 간접금융시장(ft은행)
-직접금융시장: 수요자가 발행하는 증권을 공급자가 직접 매수
-간접금융시장: 은행이 개입해서 두 단계에 나눠서 자금 거래 진행(공급자&은행 , 수요자&은행)=> 공급자는 불특정 다수에게 돈을 빌려주는 것이 아니라 신용이 보장되어있는 은행에게 맡김(이때 은행은 신용능력을 관리하고 계약서비스를 제공)
증서 매개 유무에 따라 발행시장 vs 유통시장
-발행 시장: 투자자로부터 돈을 빌리는 시장(주식, 채권 발행 for 자금 조달)
-유통 시장: 채권이나 주식 투자자들 사이에서의 거래 -> 최초 투자자가 도중 자금회수해야하는 경우, 즉 만기의 기간으로 인한 불편을 보완하기 위해 생겼다고 한다
-거래소 시장: 장소와 거래 형식이 표준화
-장외시장: 당사자간 매매, 주로 증권회가슷 매개로
②금융시스템
: 금융시장을 중심으로 금융소비자(수요자), 금융기관, 금융상품서비스(공급자), 금융유관기관, 정책‧규제기관을 포함하는 총체적인 체계
-금융 정책기관=> 금융시장이 원활하게 운영되게끔
1)기획재정부
2)한국은행
:화폐를 독점적으로 발행, 물가안정을 위해 통화신용정책(현재 운영체제: "물가안정목표제"- 통화량 등의 중간 목표를 두지 않고 ‘물가상승률’ 자체를 목표로 설정), 기준금리(정책금리)를 정한다
3) 금융감독원
:정부조직과 독립된 특수법인. 정치적 압력에 의해 자율성을 잃지 않기 위함
-금융 유관기관=> 금융 거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1) 예금보험공사(for예금자 보호)
: 금융회사가 파산으로 예금을 지급할 수 없는 경우 예금지급을 보장함으로써 예금자를 보호. 부실 가능성을 조기에 파악하고 있으며, 부실금융회사에 대한 구조조정을 추진
2) 한국 거래소(증권, 파생상품)
3) 금융결제원
3. 금융상품의 수요와 특성
①금융상품의 수요 측면: 거래(지급결제), 투자, 위험관리(보장), 차입
-거래(지급 결제): 입출금 예금(거래의 편의성, 이자소득)
-투자: 정기 예적금, 금융 투자상품
-위험관리(보장): 보험, 파생상품(헤지 목적)
-차입: 대출상품, 여신(loan)금융상품-신용카드 회사, 할부금융회사
②금융상품의 주요 속성: 편리성, 안전성(위험성),<-> 수익성, 보장성, 유동성,
=> 수요와 속성은 긴밀한 연관이 있다.
.
새로운 수요에 따른 속성들의 특징들을 잘 조합하면 기발한 금융 상품을 개발할 수 있을지도?...
'2021년 > 2021_핀테크와 글로벌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핀테크 품목별 보고서 (0) | 2021.09.24 |
---|---|
#2. 화폐의 기능과 통화량 (0) | 2021.09.21 |
#0. 간단한 모형으로 따라잡는 금융공학 트렌드 (0) | 2021.09.18 |
#0. 금융 경제 기초 (0) | 2021.09.18 |
핀테크 산업의 국내외 현황과 시사점 (0) | 2021.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