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의 등장으로, 4차산업혁명의 기술이 발달하면서 모든 일의 처리를 데이터로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글로벌 기업은 기술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익 모델과 생태계를 만들었다. 그만큼 중요한 데이터지만, 막상 접근하려면 어디를 어떻게 접근해야하는지 고민일 때가 많다.
<데이터는 어떻게 자산이 되는가> 김옥기, 이지스 퍼블리싱
독자체험단으로서 이 책을 미리 읽어보고 데이터를 다루는 기술을 배우는 대학생으로서 어떤 관점을 가지고 어떤 인사이트를 얻으려고 노력해야하는지를 위주로 파악해보고자 한다.
데이터는 어떻게 자산이 되는가?
“데이터는 어떻게 현금이 되는가?” “지금 기업들은 데이터로 무엇을 하는가?” 데이터 수집, 생성부터 유통 생태계까지! 데이터 산업의 모든 것을 알려 준다!데이터는 4차 산업혁명의 원동력
book.naver.com
‘첫째마당, 데이터 자본주의가 온다’에서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친 데이터 유통 경제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알아보고, 이 데이터 유통 경제가 전통 산업의 기본 틀에 미친 영향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신사업을 알아본다.
‘둘째마당, 데이터 경제만이 살길이다’에서는 데이터 경제가 저성장 시대에 접어드는 우리에게 어떻게 다가왔고, 지금까지 어떤 문제를 해결해 왔는지 살펴본다.
‘셋째마당, 데이터를 자산화하라’에서는 개별 기업의 데이터 분석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데이터 자산화 과정에 중요한 환경을 제공할 데이터 가공과 관리 플랫폼을 알아본다.
‘넷째마당, 데이터 생태계를 구축하라’에서는 데이터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 생태계를 살펴본다.
"어떻게"보다 "왜?" 데이터를 자산으로 표현했나 보면,
'자산'으로서의 의미라는건 경제 주체들이 시장 경제 시스템 안에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익을 추구할 수 있고 데이터를 자본이나 상품으로 거래하고 현금화 할 수 있다는 뜻. 즉 '데이터의 자본 체계'가 형성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데이터가 교환, 거래, 구독, 판매(물론 개인화된 취향에 맞는 맞춤 서비스나 월마트의 맥주&기저귀등의 서비스로 포장해서 말이다)로 거래되거나/ 공급자 입장에서는 데이터를 다루거나 분석하는 기업을 인수하기도 하니까!!!(이런 현상을 자본체계라고 불린다는 것을 이제야....ㅋㅋㅋ허허)
====================================
====================================
독자체험단으로서 읽은 후기
데이터 경제의 탄생 배경, 그에 따른 동향을 실제 글로벌 기업들을 토대로 설명해주신다. 일단 현업에서의 인사이트를 가져다 주셔서 그러는지 확실하고 와닿는 표현들 덕분에 데이터 생태계를 바라보는 시선이 좀 더 뚜렷해진 것 같다.
최근 메타버스, 가상현실관련 컨텐츠를 많이 접해서 그런지 데이터가 매우 광범위하고 어려워 보였다. 하지만 산업별로 실사례를 보여주니 기술들 가지고 현실로 끌어당기는 인문학적 인사이트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떤 기술을 어느 산업군에 접목시켜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만들지가 데이터를 배우는 문과생들의 과제가 아닐까 싶다. 요즘 가장 관심이 가는건 핀테크(스마트 금융), 스마트시티! 근데 분야를 정하기엔 데이터의 접목할 수 있는 분야가 너무 많고, 코에 걸면 코걸이가 되고 귀에 걸면 귀걸이가 되는 느낌이라.. 관련 비즈니스와 인프라관련 공부를 해야겠다는 생각도 들었지만! 읽으면서 뒷부분에 데이터 사이언스와 관련 분야의 동향도 말씀해주셔서 가장 궁금해던 요소들은 해결이 되었다.
데이터를 다루는 기술에만 그치지 않고 결국 가장 핵심이자 본질인 데이터를 매개로 한 산업에 집중하게 되었다. 데이터를 다루는 기술을 배우는 대학생으로서 기술에만 집착하지 않고 결국 내가 무엇을 만들고 그리고 싶은지를 파악해보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이 책을 읽으며 생각보다 데이터 시장은 정말 넓다는 것을 느꼈고, 데이터를 자산화하는 과정 속에서 내가 하고 싶고 할 수 있는 일을 찾을 것이다!!
읽으면서 끄적였던 글은 요기요기!!
데이터는 어떻게 자산이 되는가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4차산업혁명의 기술이 발달하면서 모든 일의 처리를 데이터로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글로벌 기업은 기술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익 모델과 생태계를 만들었다. 그
jjrm.tistory.com
'2021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월 중간고사 이후~ 11월 셋째주까지 (0) | 2021.11.16 |
---|---|
EBS 위대한 수업(GREAT MINDS)_2. 세계 경제 예측(폴 크루그먼) (0) | 2021.09.14 |
EBS 위대한 수업(GREAT MINDS)_1. 누가 진정한 리더인가(조지프 나이) (0) | 2021.09.07 |
이지스 퍼블리싱 서평단->선정! (0) | 2021.09.06 |
<카카오와 네이버는 어떻게 은행이 되었나> 김강원 (0) | 2021.09.01 |